평균결혼비용 대비 가성비 좋게 결혼준비 하는 방법

평균 결혼비용이 얼마나 들어가는지 정리를 한번 해보았습니다. 결혼준비를 시작하시는 신랑신부님에게 도움될만한 비용 아끼는 방법까지 알려드릴게요.

결혼식 비용

1,500만 원 (식사 포함) 결혼식 자체에 큰돈을 투자하고 싶지 않았기 때문에 평범한 웨딩홀보다는 우리만의 결혼식 분위기를 느낄 수 있는 하우스웨딩을 선택했어요. 일반 웨딩홀보다 비용이 조금 더 들지만 맞춤으로 할 수 있어서 어느 정도 비용은 고려했어요. 꽃 장식 비용을 위해 추가로 돈이 들지만, 계약 당일 많은 혜택이 있어서 장식 비용에 너무 집중하지 않고 예산을 최대한 절약하려고 노력했어요.

스드메 비용

180만 원 동행으로 했으면 210만 원, 비동행 시 180만 원의 패키지를 선택했어요. 사실 우리끼리만 만족하면 되기 때문에, 비싼 스드메보다는 저희한테 맞는 스드메를 선택하고 평균 비용 대비 효과를 중점적으로 고려해서 선택했어요.

한복 & 예복 비용

총 180만 원 신랑은 가족 행사나 기타 조문 이외에는 예복을 입을 일이 없기 때문에 경조사 전용 예복으로 하나 했고, 가성비 좋은 맞춤 예복으로 중간 가격대의 맞춤으로 진행했어요. 한복은 혼주 한복만 2벌로 대여하기로 해서 약 50만 원 정도의 비용이 들었어요.

예물 비용

420만 원 결혼 반지만 하기로 해서 종로와 강남을 전부 투어해보았는데, 가성비로 가자고 해서 종로에서 결혼 반지를 맞추기로만 했어요. 반지 + 가드링까지 했고, 나머지는 개인적으로 선물하는 선에서 예물은 끝냈어요.

신혼여행 비용

인당 600만 원 아마 결혼 비용에서 가장 많이 신경 쓴 부분이 아닐까 해요. 목적지는 하와이로 결정을 했고, 항공비와 자유여행이 포함된 가격입니다.

가전제품 비용

약 2,000만 원 여러 가지를 포함한 가격으로 약 2천만 원 정도를 예상했지만, 가전제품과 가구는 진짜로 필요한 것만 구매했어요. 집의 크기에 맞춰 쓸데없는 추가 지출은 피했습니다.

신랑, 신부님들의 평균 결혼비용은 얼마나 드셨나요?

서울에서 결혼 준비 중인 신혼부부의 평균 결혼비용은 3억 2,362만 원이라고 해요. 이 중 주택 자금은 1억 8,529만 원, 예식 비용은 1,390만 원, 예물 비용은 739만 원, 예단 비용은 797만 원, 혼수 비용은 1,573만 원, 신혼여행 비용은 485만 원 정도라고 합니다.

가장 어려운 신혼집 마련 비용을 제외한 결혼 비용은 5,073만 원으로, 이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 것은 혼수 준비에 드는 비용(53.9%)이라고 해요. 다음으로 결혼식장(25.9%), 예물(7.0%), 신혼여행(5.8%), 예단(3.6%), 웨딩 패키지(스드메)(2.0%) 등의 순이었어요.

다음 이전

GOOGLE AD




웨딩플래너 수수료 아직도 추가비용으로 지출하실건가요? 수수료 없는 스드메 직거래를 부도걱정없이 만나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