웨딩컨설팅은 어떻게 돈을 벌까요? 평소에 궁금하셨다면 이 글을 보시면 이해가 되실겁니다.
웨딩홀 소개해주고 돈 벌기
고객 정보 전달해주고 계약 시 수수료 (이때 웨딩홀에 고객 정보를 가장 먼저 넘겨준 플래너에게 지급).
가끔 내 플래너가 아닌 엉뚱한 플래너에게 수수료가 지급되는 경우가 있음. 이는 먼저 상담을 가서 계약을 안 했더라도 웨딩홀 섭외 명분으로 전화번호를 넘긴 것임. 선 인폼 제도가 수수료 지급 규칙.
웨딩홀당 하객 숫자대로 인두세처럼 수수료 지급 1-2000원. 100-150 명이 지급 기준이기 때문에 하객이 적은 경우 웨딩홀 섭외 신경 안 씀.
스드메 계약 후 마진 챙기기
스드메를 납품가에 제공받아 마진을 붙여서 판매함 (유통업체 같은 구조). 같은 웨딩업체 스드메 패키지라도 100-심지어 200까지도 견적 차이 남. 과도한 마진을 붙이는 컨설팅 업체도 있음.
웨딩업체들에게 신부 밀어주는 조건으로 개런티 받음. 예) 100건 밀어주는 조건으로 업체에서 1000만 원 선입금, 마케팅비 별도 받음, 웨딩박람회 비용 스드메업체는 100-200만 원.
웨딩업체는 이런 컨설팅에 끌려 다니며 손님을 받을 수밖에 없는 구조. 스드메 업체도 수익을 내기 위해서는 어쩔 수 없이 추가금 파티! 심지어 웨딩플래너 야유회, 연말송년회 금액까지 협찬.
혼수 소개 (예물, 예복, 한복)
고객을 연결해주면 평균 20% 수수료 수입 발생 (최고 수수료 30% 업체도 있음).
기타 가전, 연주, 폐백 등 모든 웨딩 품목에 수수료 받음.
웨딩박람회 참가비, 웨딩박람회에 참가하는 혼수업체들은 최소 200에서 500 입점비를 내고 참여.
현재 웨딩컨설팅 회사 간의 과도한 경쟁으로 마케팅비 지출 규모가 심각함. 웨딩플래너들의 수수료 시장을 알게 된 신부들은 워킹을 받지 않는 스드메만 컨설팅 업체에서 진행하고 혼수는 플래너 소개 수수료 없는 워킹 등으로 시장 구조 변함 (컨설팅 수수료 때문에 혼수업체 상품 가격이 비싸짐).